본문 바로가기

건축/계단 및 승강기7

건축물 층별 승강기 & 계단 총정리 (+창문 설치 가능여부) 건축물 층별 승강기 & 계단 총정리 (+창문 설치 가능여부) 건축물을 계획할때 마다 매번 헷갈리는게 계단과 승강기인것 같다. 그래서 이번에는 건축물의 층별로 필요한 법적으로 필요한 승강기와 계단의 종류를 적어보도록 하겠다. 그 후에는 그림을 통해 예시를 들면서 '승용승강기+피난계단' 또는 '비상용승강기 + 특별피난계단' 등 코어의 조합에 따라 창문을 어떻게 설치해야하는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공동주택과 일반건축물 두가지로 나누어서 진행 할 것 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0. 목차 1. 건축물 층별 승강기 및 계단 정리 1) 공동주택일 경우 2) 일반건축물일 경우 2.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에서의 창문 1) 예시 그림 & 표 2) 참고법령 1. 건축물 층별 승강기 및 계단 정리 1) 공동주택일 경우 승.. 2023. 5. 18.
비상용 & 피난용승강기 산정 차이점 [공동주택 VS 일반건축물] 비상용 & 피난용승강기 산정 차이점 [공동주택 VS 일반건축물] 피난용 승강기와 비상용승강기가 승용승강기로 치환이 되는데 공동주택은 되고 일반건축물은 안 되는 경우가 있다. 매번 헷갈리니 이번 포스팅에서 정리해 보도록 하겠다. 일단 결론 부터 말하자면 아래 표를 보면 된다. 공동주택과 일반건축물인 오피스텔을 예시로 들어서 승용, 비상용, 피난용 승강기를 구하는 법을 정리해 뒀으니 천천히 읽어보면 납득이 될 것이다. 앞서 승용, 비상용, 피난용 승강기의 개념이 헷갈리고 승강기를 구하는 방식을 모르는 사람들은 아래 포스팅을 먼저 읽고 오길 추천한다. 승용승강기 및 비상용승강기 설치 대수 기준 0. 결론 조건 - 30층 (6층이상은 25개층) - 한층 바닥면적 1000㎡ - 한층 거실면적(=전용면적) 700㎡.. 2023. 5. 16.
비상용 승강기와 피난용승강기 구조적 차이점 비상용 승강기와 피난용 승강기 구조적 차이점 이번 포스팅에서는 비상용 승강기와 피난용 승강기의 법적 정의에 대해 알아보고, 구조적 차이를 중심으로 비상용 승강기와 피난용 승강기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분석한 것을 토대로 차이점 정리표를 만들어 이해하기 쉽도록 정리했다. 법령을 천천히 읽고 마지막에 차이점 정리표를 보길 추천한다. 끝에는 직통계단이나 승강기에 대한 포스팅도 링크를 걸어두었으니 참고하면 좋을 듯하다. 0. 목차 (관련 법령) 1. 비상용 승강기와 피난용 승강기의 정의 - 승강기 안전관리법 시행규칙 [별표1] - 서울시 초고층 건축물 승강기설치 가이드라인 제2조 2. 비상용 승강기의 구조 기준 - 건축물설비기준규칙 제10조 3. 피난용 승강기의 구조 기준 - 건축법 시행령 제91.. 2022. 2. 9.
직통계단 2개소 설치기준 및 보행거리 정리 직통계단 2개소 설치기준 및 보행거리 정리 이번 포스팅에서는 직통계단의 개념이란 무엇인지 확실하게 알고, 피난층 외의 층에서 직통계단까지의 최대 보행거리 기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그리고 직통계단을 2개소 이상 설치해야 하는 대상이 무엇인지, 2개소의 직통계단 사이의 최소 이격거리는 얼마인지 알아보도록 하겠다. 마지막으로 결론을 내리면서 이 포스팅의 핵심을 정리했고,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 그리고 승강기에 대한 추가적인 포스팅의 링크도 함께 걸어뒀다. 0. 목차 1. 직통계단의 개념 - 그림으로 이해하는 건축법 (ⓒ이재인) 2. 직통계단의 접근성 (피난층 외의 층에서 보행거리 기준) - 건축법 시행령 제34조(직통계단의 설치) 제1항 3. 직통계단 2개소 설치대상 - 건축법 시행령 제34조(직통계.. 2022. 2. 8.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차이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차이 이번 포스팅에서는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구조를 기준으로 공통점과 차이점을 비교해 보려고 한다.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만 가지고 해설할 예정이다. 법령이 너무 헷갈리게 쓰여있어서, 결론 파트에서는 내가 직접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차이점을 표로 만들어 정리했다. 마지막에는 직통계단 또는 승강기 등 산정에 대한 포스팅 링크도 걸어뒀으니, 참고하길 바란다. 0. 목차 1. 피난계단과 특별피난계단의 공통적인 기준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 제1항, 제3항 2. 피난계단의 구조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기준에 관한 규칙 제9조 제2항 1호, 2호 3. 특별피난계단의 구조 - 건축물의 피난ㆍ방화구조 등의.. 2022. 2. 7.
승용승강기 및 비상용승강기 설치 대수 기준 승강기 설치 대수 산정하는 것은 항상 헷갈리기 때문에 저도 보려고 여기다 정리합니다. 승강기의 종류는 크게 3가지인데 승용승강기, 비상용 승강기, 피난용 승강기가 있습니다. 먼저 각 승강기마다 봐야 할 법령들이 어디 있는지 요약본입니다. 1. 승강기 - 건축법 제64조(승강기) 1항 2. 승용승강기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5조 (승용 승강기의 설치기준)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별표1의2) 3. 비상용 승강기 - 건축법 제64조(승강기) 2항 - 건축법 시행령 제90조 (비상용 승강기의 설치) - 건축물의 설비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9조 (비상용 승강기를 설치하지 아니할 수 있는 건축물) 4. 피난용 승강기 - 건축법 제 64조(승강기) 3항 이번에도 직통계단 및 피난계단 .. 2021. 4. 28.
직통계단 및 피난계단 설치기준 총정리 먼저 급하신 분들을 위해서 위치해 봐야하는 법령을 먼저 요약해 놨습니다. 그 다음 예시를 들어서 설명을 해드리겠습니다. 1. 직통계단 건축법 시행령 제34조 (직통계단의 설치) 2. 피난계단 및 특별피난계단 건축법 시행령 제35조(피난계단의 설치) 아래는 예제1의 간단한 개요입니다. 예제1을 통해 직통계단, 피난계단, 특별피난계단이 총 몇 개가 필요한지 법령을 통해 알아보겠습니다. 글을 읽으시면서 정답이 무엇일지 같이 유추해보시길 바랍니다. 예제 1 용도: 업무시설 (오피스텔) 층수: 지상 17층, 지하 2층 각 층 바닥면적: 800㎡ 1. 직통계단 건축법 시행령 제34조(직통계단의 설치) ② 법 제49조제1항에 따라 피난층 외의 층이 다음 각 호의 어느하나에 해당하는 용도 및 규모의 건축물에는 국토교통.. 2021. 4. 27.

위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