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센터 설계] PUE, 전력 사용량, 구성
데이터센터를 막상 설계하려고 하면 데이터센터가 무엇인지도 잘 모르겠고, 용어가 매우 생소할 것이다. 데이터센터가 낯선 분들을 위해 데이터센터의 정의, 구성, 설계모듈, 쿨링 시스템, 에너지 시스템 (PUE), 전력수급 기준 등을 정리해 보았다.
0. 목차
1. 데이터센터의 정의 2. 데이터센터의 구성 3. 데이터센터의 설계모듈 4. 데이터센터의 쿨링시스템 5.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란? 6. 데이터센터 전력수급 기준 |
1. 데이터센터의 정의
- 서버컴퓨터와 네트워크회선 등을 제공하는 인프라시설로 ICT 서비스 제공에 필요한 장비들을 집적하여 24시간 365일 운영하고 통합·관리하는 시설
2. 데이터센터의 구성
- 전산기계실: 서버·스토리지·네트워크등의 ICT장비
- 기반시설: 운영 및 전력공급을 위한 시설/관제 및 보안시설
1) 전산기계실 (=전산실, 상면, White Space)
- 장비나 설비를 설치할 수 있는 공간
- 컴퓨팅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필요한 랙(Rack)과 케이블링, 서버, 스토리지, 관리시스템 및 네트워크장비등이 포함
- 상면/White Space라 불리는 이유: 과거에 이중바닥재위에 흰색전도성 타일이 많이 깔림
2) 전산기계실의 구성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T-dhMIAyYPk&t=709s
① 항온항습기
- 전산실의 온도를 낮춰주는 에어컨역할
② Rack
- 서버, 네트워킹장치, 케이블 및 기타 데이터센터 컴퓨팅장비를 수용하도록 설계된 프레임
- 예전에는 3kW 이하의 저밀도랙으로 계획했으나 최근에는 8kW 또는 20kW 이상의 고밀도데이터센터로 계획하여 효율성 높임
③ 컨테인먼트
- Rack과 Rack 묶어, hot aisle과 cold aisle을 구분해 주는 구조물 Rack에서 발열되는 더운 공기를 hot aisle을 통해 흡입
④ Cold Aisle
- 항온항습기에서 나온 냉기로 Rack의 열을 식 힘(통행로)
3. 데이터센터의 설계모듈
- Unit : 4.5cm 정도폭의 한 개의 표준서버
- Rack : 각유니트(서버)를꽂는장비
- Containment: 랙들을 2열로 배치
- Module: 컨테이먼트를다시 수평으로 여러 개 배치
- Floor: 각층에는 전산기계실이한개또는그 이상으로 배치가 능
- Building: 전산기계실 기준층+ 기반시설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T-dhMIAyYPk&t=709s
4. 데이터센터의 쿨링시스템
1) 외기 직접방식 (Direct Air)
- 외부의 차가운 공기를 전산기계실 내부로 직접공급
2) 외기 간접방식 (Indirect Air)
- 외부의 차가운 공기와 내부공기를 열교환하여 냉각
3) 프리쿨링냉동기 (Freecooling Chiller)
- 외부의 차가운 공기로 냉각된 냉각수를 항온 항습기에 공급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T-dhMIAyYPk&t=709s
5. PUE(Power Usage Effectiveness)란?
- 데이터센터의 전력사용효율을 나타내는 지표
- 데이터센터의 건물 전체 부하 전력 중 순수 Rack에 부하된 전력 개념
- PUE는 데이터센터 총 사용전력을 UPS 출력단 전력으로 나눈 값으로 1.0에 가까울수록 에너지 효율 좋음
- 통상 전체 수전용량의 55%~65% 수준
6. 데이터센터 전력수급 기준
전 력 | 전 압 | 수급방법 | 기 타 |
1만kW (10MW) 이하 |
22.9 kV | 일반 선로 사용 가능 | - 1만 4천kW까지는 일반 선로 사용 가능하지만 피크 제어로 1만kW 이하 사용 가능 |
1만kW (10MW) 이상 |
22.9 kV | 전용선로 필요 | - 각각의 변전소에서 2회선 인입 권장 |
4만kW (40MW) 이상 |
154 kV | 변전소 건립 필요 |
- 변전소 부지는 사업자가 제공 - 변전소 면적은 한전에서 계획 |
- 전용선로 필요시 사전에 ‘전기사용 신청서’를 작성하여 한전과 협의해야하며, 이때 수급가능 여부와 분담금 확인 가능함
- 전용선로 공사비는 변전소 위치에 따라 크게 차이가 남
- 4만 kW (40MW) 이상의 전력 필요시 두 개의 변전소에서 각각 전력을 인입받아야 함
더 나아가 데이터센터의 분류 및 종류를 알고 싶다면 아래 포스팅을 참고하면 된다.
자사용 데이터센터와 임대용 데이터센터의 차이점 말고도, 데이터센터의 TIER 등급 및 규모에 대한 정보가 나와있는 포스팅이니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데이터센터 분류] Tier등급, 규모별, 자사용·임대용
'건축 > 건축물 용도별'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이브 오피스의 개념 및 장단점 (1) | 2023.05.25 |
---|---|
[데이터센터 분류] Tier등급, 규모별, 자사용·임대용 (0) | 2023.05.15 |
호텔 건축법규 및 개념 정리 (1) | 2022.09.13 |
기숙사 용도 규정에 따른 발코니 확장, 일조제한, 사업계획승인대상 여부 (0) | 2022.02.04 |
지식산업센터란? 관련 법과 정의 (0) | 2021.08.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