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축기사] - 페데스트리언 지대, AIDMA 법칙, 사행배치 및 직각배치
1. 상점계획
AIDMA 법칙 | A (ATTENTION) = 주의 I (INTEREST) =흥미 D (DESIRE) =욕구 M (MEMORY) = 기억 A (ACTION) = 구매 |
|
상점 매장의 가구배치에 따른 평면 유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① 직렬형은 부분별로 상품 진열이 용이하다. ❷ 굴절형은 대면판매 방식만 가능한 유형이다. ③ 환상형은 대면판매와 측면판매 방식을 병형할 수 있다. ④ 복합형은 서점, 패션점, 악세사리점 등의 상점에 적용이 가능하다. |
|
상점의 판매방식 | 대면판매 | - 쇼케이스를 중심으로 판매원이 고정된 자리나 위치를 확보하는 것이 용이하다. - 측면판매방식에 비해 상품진열면적이 좁아진다. - 시계, 귀금속, 의약품 상점 등에서 쓰여 진다. |
측면판매 | - 직원 동선의 이동성이 많다. - 고객이 직접 진열된 상품을 접촉할 수 있는 관계로 선택이 용이하다. |
|
상점의 동선계획 | - 고객동선 : 길게 - 직원동선 : 짧게 - 상품동선 + 직원동선 : 분리 - 고객출입구 + 상품반출입구 : 분리 |
|
상점 종합 계획 | - 고객의 동선은 일반적으로 길수록 좋다. - 점원의 동선과 고객의 동선은 서로 교차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 대면판매형식은 일반적으로 시계, 귀금속, 의약품 상점 등에서 쓰여 진다. - 쇼케이스 배치 유형 중 직렬형은 다른 유형에 비하여 상품의 전달 및 고객의 동선상 흐름이 빠르다. - 진열케이스, 진열대, 진열장 등이 입구에서 안을 향하여 직선적으로 구성된 평면배치는 주로 침재 코너, 식기코너, 서점 등에서 사용된다. |
2. 백화점 계획
1) 백화점 진열장 배치 및 기둥간격 결정요소
백화점 진열장 배치 유형 | 사행배치 | - 메인 통로를 직각배치하며, 서브 통로를 45도 정도 경사지게 배치하는 유형 - 많은 고객이 매장공간의 코너까지 접근하기 용이하지만, 이형의 진열장이 많이 필요 |
직각배치 | - 매장 면적의 이용률을 최대로 확보할 수 있다. - 고객의 통행량에 따라 통로폭을 조절하기 용이하지 않다. |
|
진열장 배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 | ❶ 손님 쪽에서 상품이 효과적으로 보이도록 계획한다. ② 들어오는 손님과 종업원의 시선이 정면으로 마주치도록 계획한다. ③ 도난을 방지하기 위하여 손님에게 감시한다는 인상을 주도록 계획한다. ④ 동선이 원활하여 다수의 손님을 수용하고 가능한 다수의 종업원으로 관리하게 한다. |
|
백화점의 기둥간격 결정요소 3가지 | - 진열장의 치수와 배치방법 - 에스컬레이터의 배치(방법) - 지하주차장의 주차방식과 주차 폭 |
2) 백화점의 에스컬레이터 배치 유형 및 설치 위치
배치 형식 | 교차식 배치 | - 점유면적이 다른 유형에 비해 작다. - 연속적으로 승강이 가능하다. - 승객이 시야가 좋지 않다. |
|
직렬식 배치 | - 점유면적이 크고, 승객의 시야가 좋다. | ||
병렬식 | 병렬 연속식 | 연속적으로 승강할 수 있다. | |
병렬 단속식 | 연속되지 않고, 점유면적이 증가된다. | ||
병렬식 (연속, 단속) : 백화점 매장 내부에 대한 시계가 양호하다. | |||
에스컬레이터 점유면적 크기순 | 교차식 <병렬연속 < 병렬단속 < 직렬식 | ||
백화점 매장에 에스컬레이터를 설치할 경우, 설치 위치로 가장 알맞은 곳은? | ① 매장의 한 쪽 측면 ② 매장의 가장 깊은 곳 ③ 백화점의 계단실 근처 ❹ 백화점의 주출입구와 엘리베이터 존의 중간 |
3. 쇼핑센터 계획
페데스트리언 지대 | - 고객에게 변화감과 다채로움, 자극과 흥미를 제공한다. - 바닥면의 고저차를 많이 두지 않는다. - 바닥면에 사용하는 재료는 주위 상황과 조화시켜 계획한다. - 사람들의 유동적 동선이 방해되지 않는 범위에서 나무나 관엽식물을 둔다. |
몰(Mall) | - 쇼핑센터에서 고객을 각 상점에 유도하는 주요 보행자 동선 + 고객의 휴식처로서의 기능을 갖고 있는 곳 |
쇼핑센터의 몰(mall)의 계획에 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 은? | ① 전문점들과 중심상점의 주출입구는 몰에 면하도록 한다. ② 몰에는 자연광을 끌어들여 외부공간과 같은 성격을 갖게하는 것이 좋다. ③ 다층으로 계획할 경우, 시야의 개방감을 적극적으로 고려하는 것이 좋다. ❹ 중심상점들 사이의 몰의 길이는 100m를 초과하지 않아야하며, 길이 40~50m마다 변화를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 정답 : 폭 6~12m, 길이는 최대 240m, 길이 20~30m마다 변화 |
+) 건축기사 필기 공부하면서 관련 개념들과 공식을 일일이 찾아보기 힘드셨을 겁니다. 그런 분들을 위해 제가 직접 [건축기사 필기 5~10개년 요약본]을 만들었으니 아래 사이트를 참고하세요!
https://kmong.com/self-marketing/510345/b1W9way9aX
건축기사 필기 5·10개년 요약본 - 인강없이 합격하기 - 크몽
초카이브 전문가의 전자책 서비스를 만나보세요. ## 이런분들께 추천드립니다1. 인강 없이, 학원 없이 한번에 합격하고 싶은 분2. 출제빈...
kmong.com
'건축기사 > 건축기사 계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건축기사] - 호텔 계획, 병원계획 (분관식, 고층밀집형) (0) | 2023.08.30 |
---|---|
[건축기사] - 학교 (이용률 순수율, 종합교실형), 도서관 (안전개가식, 반개가식) (0) | 2023.08.29 |
[건축기사] - 개실배치, 오피스 랜드스케이핑, 사무소 코어 (0) | 2023.08.25 |
[건축기사] - 공동주택 분류 (메조넷, 듀플렉스형), 단지계획(레드번, 쿨드삭) (1) | 2023.08.24 |
[건축기사] - 단독주택 계획, 부엌의 계획 및 평면형 (1) | 2023.08.23 |
댓글